본문 바로가기
Book

[혼공파] 혼공학습단 12기 2주차

by suuuuunnng 2024. 7. 17.

str_input = input("태어난 해를 입력해 주세요> ")
birth_year = int(str_input) % 12

if birth_year == 0:
    print("원숭이 띠입니다.")
elif birth_year == 1:
    print("닭 띠 입니다.")
elif birth_year == 2:
    print("개 띠 입니다.")
elif birth_year == 3:
    print("돼지 띠 입니다.")
elif birth_year == 4:
    print("쥐 띠 입니다.")
elif birth_year == 5:
    print("소 띠 입니다.")
elif birth_year == 6:
    print("범 띠 입니다.")
elif birth_year == 7:
    print("토끼 띠 입니다.")
elif birth_year == 8:
    print("용 띠 입니다.")
elif birth_year == 9:
    print("뱀 띠 입니다.")
elif birth_year == 10:
    print("말 띠 입니다.")
elif birth_year == 11:
    print("양 띠 입니다.")

책 속 예제로 복습하기.

변수 할당 후 참조를 해보는 과정
위 코드 출력값
입력받고 더하기
입력받은 값 300에 100을 더하고자 한 것이었으나 input() 함수로 입력받은 자료는 모두 문자열로 저장되므로 "300" + 100 이 되어 문자열과 숫자는 더할 수 없어 발생한 오류다.
입력A> 값으로 273, B> 값으로 52 입력
문자열과 숫자 간 결과의 차이가 존재한다.

* 추가 예정

 

키워드로 정리하는 핵심 포인트

1. 변수 선언은 변수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하고, 변수 할당은 변수에 값을 넣는 것을 의미.

2. 변수 참조는 변수에서 값을 꺼내는 것.

3. input() 함수는 명령 프롬포트에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사용.

4. int()  함수는 문자열을 int 자료형으로 변환하고 float() 함수는 문자열을 float 자료형으로 변환.

5. str() 함수는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

6. 불(bool)은 파이썬의 기본 자료형으로 True(참), False(거짓) 을 나타내는 값.

7. 비교 연산자는 숫자 또는 문자열에 적용하며, 대소를 비교하는 연산자

8. 논리 연사자는 not, and, or 연산자가 있으며, 불을 만들 때 사용.

9. if 조건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를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게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하는 구문

10. else 구문은 if 조건문 뒤에 사용하며, if 조건문의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

11. elif 구문은 if 조건문과 else 구문 사이에 입력하며, 세 개 이상의 조건을 연결해서 사용할 때 적절

12. if 조건문의 조건식에서 False로 변환되는 값은 None, 0, 0.0 과 빈 문자열, 빈 바이트열, 빈 리스트, 빈 튜플, 빈 딕셔너리 등이다.

13. pass 키워드는 프로그래밍의 전체 골격을 잡아놓고, 내부에 처리할 내용은 나중에 만들고자 할 때 pass 라는 키워드를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