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4

앞으로의 백엔드 공부 계획 현재 상태부터 이야기를 해보면 망했다. 왜 망했냐면.. 12월달에 사실상 부모님 가게에 시간 투자를 많이해서 학습 진도가 많이 늦어졌다. 그래서 이번달 부터라도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습관을 들이려고 한다. 1. 제로베이스 진행 자바, 자료구조/알고리즘 까지 현재 진도인데 자료구조 파트를 아직 듣고 있다. 일단 1월 둘째주 (1월 14일) 까진 알고리즘 파트를 끝내고 시간의 여유가 된다면 CS 공부도 할 예정이다. 1월 셋째주는 객체지향/라이브러리 파트 + CS 강의.. 순차적으로 계획짜서 밀리지만 않는다면 1월 안에 본 강의 속도 + 복습할 시간이 짜여질 것 같다. 다만 일요일을 제외하고 부모님 가게에서 일을 돕는 상황이다보니 사실상 하루에 최대 학습가능한 시간이 6시간~7시간 정도라서 어려움이 있다. 강.. 2024. 1. 5.
2024 백엔드 커리어 로드맵 - 어떤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은지 출처 : https://roadmap.sh/backend - 영문판 / https://zero-base.co.kr/event/media_BE_school_roadmap - 한글판. 위 사진은 백엔드 커리어 로드맵이라고 유명한 사진이다.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해 어떤 것을 학습해야하고 다룰줄 알아야하고 알고있어야하는지에 대해 나와있는 사진이다. 근데 난 이 중에서 저 사진을 보고 단박에 아는 것이라곤 'Java' 뿐이다. 그만큼 아직 많~~이 모자른 개발자 취준생이다. 그렇다면 최대한 효율적으로 핵심적인 것들을 위주로 공부해야 할 것이다. 영문판과 한글판의 구조가 약간 다른데, 한글판은 작년 봄~여름에 나온 버전, 영문판은 최근에 나온 버전이라 다르다. CS, 언어, DB, Git, Spring, JPA.. 2024. 1. 5.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차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각 개발의 차이 프론트엔드(FE) 웹 화면 또는 모든 SW의 화면, 즉 앞 부분을 만드는 포지션이다. JS(JavaScript)를 기반으로 하는 언어를 주로 사용한다. JS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추세이기도 하다. 백엔드보다 상대적으로 시각적인 결과를 확인하기 쉽기에 러닝커브(미리 만들어놓은 소스코드이 집합) 가 낮다고 생각되지만, 프레임워크나 라이브러리의 원리와 사용 이유 등 근본적인 기술을 걔우치는 부분에 있어서 마냥 낮다고는 할 수는 없다. FE를 배우기 위해선 먼저 HTML(뼈대) + CSS(피부) + JavaScript(행위) 를 담당하는 언어들을 배워야 한다. 후에 React.js, Vue.js, TypeScript 등을 배우며, 각 회사별, 개발하는 웹 또는 앱의 기능.. 2023. 12. 17.
[자료구조/알고리즘] 힙 힙 (Heap) 완전 이진 트리 형태이며 중복 값 허용, 반 정렬 상태이다. 최소 또는 최대값을 빠르게 찾아내는데 유용한 자료구조 최소 힙 (Min Heap) : 부모 노드의 키가 자식 노드의 키보다 작거나 같은 형태. 삽입 트리의 가장 끝 위치에 데이터 삽입, 부모 노드와 키 비교한 후 작을 경우 부모 자리와 교체(반복) 삭제 최상위 노드 반환 및 삭제, 가장 마지막 위치의 노드를 최상위 노드로 위치시킨다. 자식 노드 중 작은 값과 비교 후 부모 노드가 더 크면 자리 교체(반복) 최대 힙 (Max Heap) : 부모 노드의 키가 자식 노드의 키보다 크거나 같은 형태. 2023. 12. 16.
[자료구조/알고리즘] 연결 리스트 연결 리스트 (Linked List) 데이터를 링크로 연결해서 관리하는 자료구조이며, 자료의 순서는 정해져 있지만 메모리 연속성은 보장X 장점 : 데이터 공간을 미리 할당할 필요 없다. 리스트의 길이가 가변적이라 데이터의 추가/삭제 가 용이하다. 단점 : 연결구조를 위한 별도의 데이터 공간이 필요하고, 연결 정보를 찾는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데이터 추가, 삭제 시 앞뒤 데이터의 연결을 재구성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2023. 12. 16.
[자료구조/알고리즘] 해시맵(해시 테이블) 해시 맵(Hash Map), 해시 테이블(Hash Table) 키(key), 값(Value) 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 - 키를 통해 해당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 가능하다는 특징. 해싱 : 키를 특정 계산식에 넣어 나온 결과를 사용하여 값에 접근하는 과정. 키(Keys) : 해시 테이블 접근을 위한 입력 값. 해시 함수(Hash Function) : 키를 해시 값으로 매핑하는 연산 해시 값(Hash Value) : 해시 테이블의 인덱스 해시 테이블(Hash Table) : 키 - 값을 연관시켜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 해시 충돌 해시 테이블의 같은 공간에서 서로 다른 값을 저장하려는 경우 (또는 서로 다른 키의 해시 함수를 통한 값이 동일한 경우) 에 발생한다. 개방 주소법 // 분리 연결법, 크게.. 2023. 12. 16.